본문바로가기

열린공간

  • HOME
  • 열린공간
  • News

[한림원탁토론회] 연구성과의 가치, 어떻게 평가할 것인가?

이름 |
관리자
Date |
2025-03-04
Hit |
240

지정 및 자유토론에서 참석 전문가들이 논의를 하고 있다. (왼쪽부터이상규 IBS 인지 및 사회성 연구단 연구위원김상우 연세대학교 교수
강봉균 IBS 인지 및 사회성 연구단 단장(좌장)박주영 서울대학교 교수이학연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수김수영 고려대학교 교수
김승일 서울시립대학교 교수최태림 스위스 ETH Zurich 교수(화상참여)


한국과학기술한림원(이하 한림원)은 2월 25(오전, ‘연구성과의 가치어떻게 평가할 것인가?’를 주제로 제233회 한림원탁토론회를 온·오프라인으로 동시 개최했다.


     

이번 토론회는 한국차세대과학기술한림원(이하 Y-KAST)이 공동 주최하는 행사로서 국내 젊은 과학자들이 참여하여 국내외 연구성과 평가시스템을 살펴보고 우리나라의 연구평가제도에 대한 개선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연구성과 평가 방법의 진화와 한계를 주제로 발표한 이학연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수는 "인용 기반 정량 평가가 완벽한 것은 아니다"라며 "인용 행위도 사회적 행동이기 때문에 지역·성별·언어 편향이 있고 연구 생태 규모가 큰 분야에서 더 유리하다"고 설명하며인용 기반 평가 방법의 현황과 한계를 분석했다.


또한 지정토론에 참여한 김상우 연세대학교 교수는 Y-KAST 회원 및 동문 등 젊은 과학자 122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 결과를 공개했다. 설문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들은 국내 우수연구 평가제도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 학문 분야 간 형평성 부족과 IF 등의 기준으로 평가가 왜곡된다는 점’을 꼽았다. 토론에 참여한 전문가들은 국내 정량 평가가 학문 분야별 차이를 반영하지 못하는 문제를 지적하며해외평가 도입 등 다양한 시도를 통해 학문의 독창성과 도전적 연구를 장려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열띤 토론을 펼쳤다.

 


[주제발표]
이학연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업공학과 교수 '연구성과 평가 방법의 진화와 한계'


 

[지정토론 (좌장박주영 서울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교수)]
이상규 기초과학연구원 인지 및 사회성 연구단 연구위원
김상우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강봉균 기초과학연구원 인지 및 사회성 연구단 단장
김수영 고려대학교 신소재공학부 교수
김승일 서울시립대학교 환경원예학과 교수
최태림 스위스 ETH Zurich 교수

[유튜브 다시보기]



작성자홍보팀 연락처031-710-4639



이전글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