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9회 국회-한림원 과학기술혁신연구회포럼 개최
[제9회 국회-한림원 과학기술혁신연구회포럼 주요 참석자 단체사진]한국과학기술한림원과 국회가 공동으로 설립한 국회-한림원 과학기술혁신연구회가 지난 17일 국회 본관에서 ‘미래 과학기술을 위한 정책입법 및 교육, 어떻게 해야 하나?’를 주제로 ‘제9회 국회-한림원 과학기술혁신연구회포럼’을 개최했다. 특히 이번 토론회에서는 정부가 역점을 두고 추진 중인 각종 규제개선과 제도 정비와 관련하여 국내외적 과학기술 환경의 변화와 급속한 과학기술 발전 속도에 상응하는 법적·제도적 개선방안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가 이...
2017/12/04자세히보기
-
Young Scientists Talk 2017 개최
'더 나은 미래를 위한 새로운 혁명(Next Revolution for Better Living)' 주제[YST 2017 주요참석자 단체사진]한국과학기술한림원과 한국차세대과학기술한림원(Y-KAST)이 주관하는 ‘Young Scientists Talk 2017(이하 YST)'이 ’더 나은 미래를 위한 새로운 혁명(Next Revolution for Better Living)'을 주제로 지난 11월 1일(수) 더플라자호텔 다이아몬드홀에서 열렸다.YST는 올해 2월 출범한 Y-KAST의 첫 번째 공식 행사로서, 각국 영아카데...
2017/11/16자세히보기
-
2017 세계과학한림원서울포럼(Inter-Academy Seoul Science Forum) 개최
‘건강 100세를 위한 미래과학기술(Science and Technology in Health Care)' 주제7개국 과학한림원 대표단 및 채드 머킨, 대니얼 노세라 등 세계적 석학 참여[2017 세계과학한림원서울포럼(IASSF) 주요 참석자 단체사진]한국과학기술한림원은 10월 31일(화)과 11월 1일(수) 양일간 더플라자호텔에서 ‘건강 100세를 위한 미래과학기술(Science and Technology in Health Care)'을 주제로 '2017 세계과학한림원서울포럼(Inter-Academy Seou...
2017/11/16자세히보기
-
2017년 노벨프라이즈 다이얼로그 서울(Nobel Prize Dialogue Seoul 2017) 개최
30여명의 세계적 석학, 인구 노령화에 대한 생각과 의견 공유'The Age to Come' 주제…우리가 곧 마주할 고령사회를 과학과 사회문화의 측면에서 탐구 [코엑스 오디토리움에서 열린 노벨프라이즈 다이얼로그 2017 행사장 전경]한국과학기술한림원과 스웨덴 노벨미디어는 지난 10월 30일(월) 서울 ...
2017/11/16자세히보기
-
제5회 한국-독일레오폴디나한림원 공동심포지엄 개최
‘인공지능과 기계학습(A.I. and Machine Learning)’ 주제이성환 고려대 교수 등 인공지능 분야 양국 전문가 한 자리 [제5회 한국-독일레오폴디나한림원 공동심포지엄 주요 참석자 단체사진]우리 한림원은 지난 19일과 20일 양일간 인터콘티넨탈 서울 코엑스에서 ‘인공지능과 기계학습’을 주제로 제5회 한국‧독일레오폴디나한림원 공동심포지엄을 개최했다. 이번 공동심포지엄에는 관련 분야 연구를 선도하고 있는 저명한 한국 및 독일의 연구자들이 참여했다. 이성환 고려대학교 교수, 장...
2017/11/06자세히보기
-
살충제 계란 주제 제117회 한림원탁토론회 개최
[제117회 한림원탁토론회 주요 참석자 단체사진]한국과학기술한림원은 지난 8일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살충제 계란 사태로 본 식품안전관리 진단 및 대책’을 주제로 제117회 한림원탁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날 토론회에서는 이향기 한국소비자연맹 부회장의 ‘살충제 계란 대책방안 진단’과 김병훈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 인증심사본부장의 ‘계란 살충제 검출 관련 안전관리인증기관(HACCP) 개선 대책’ 등이 주제발표로 마련됐다. 먼저 이향기 부회장은 관리‧검사‧대응시스템 등에 산재한...
2017/09/25자세히보기
-
제31회 프레스티지 워크숍 개최
[프레스센터서 열린 제31회 프레스티지 워크숍 전경]한국과학기술한림원은 지난 7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GMO-노벨상 수상자에게 묻다’를 주제로 제31회 프레스티지 워크숍(The 31st Prestige Workshop)을 개최했다. GMO(Genetically Modified Organism)는 유전공학을 이용하여 개발된 농산물로 다가올 식량난과 식량주권문제의 해결책으로 제시된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GMO의 안전성에 대해 우려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에 따라 과학기술을 기반으로 한 정확한 이해와 지식의 필요성이...
2017/09/25자세히보기
-
제2회 한림미래포럼
[회관 대회의실에서 열린 제2회 한림미래포럼]한국과학기술한림원은 지난 30일 회관 대회의실에서 ‘과학기술분야 대학교육 개혁’을 주제로 제2회 한림미래포럼을 개최했다. 이날 포럼에서는 ‘과학기술 대학교육 혁신’을 주제로 한 이태억 KAIST 교수(한림원 정책학부 정회원)의 발제와 함께, 한림원 정회원으로 구성된 토론자들의 지정토론이 진행됐다. 이 교수는 입학생 학력 저하, 이공계 기피, 학령 인구 감소 등 이공계 대학교육이 처한 문제를 제시하며 교육의 질 개선과 대학체제의 변화를 통한 해결을 제...
2017/09/25자세히보기
-
제116회 한림원탁토론회
제116회 한림원탁토론회 개최, 8월 대장정 마무리8월 한 달간 한림원탁토론회 총 5회 개최9월에도 ‘살충제 계란 사태’ 등을 주제로 활발한 논의 이어갈 예정[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제116회 한림원탁토론회 전경]한림원탁토론회가 과학기술인 뿐만 아니라 정부 관계자, 언론인 등의 관심을 받으며 8월의 대장정을 마무리했다. 김승조 기획정책담당부원장(서울대학교 명예교수), 김진수 이학부 정회원(기초과학연구원 단장), 정선양 정책학부장(건국대학교 교수), 홍성욱 정책학부 정회원(서울대학교 교수) 등 각 분야를 대표하는 전문가 40...
2017/08/25자세히보기
-
제115회 한림원탁토론회
우리 한림원은 8월 18일(금) 오전 9시 30분부터 프레스센터 20층 프레스클럽에서 ‘ICT 패러다임을 바꿀 양자통신, 양자컴퓨터의 부상’을 주제로 제115회 한림원탁토론회를 개최하였다. 이날 토론회에서 산·학·연 전문가들은 양자통신과 양자컴퓨터의 기술현황 및 미래전망을 살펴보고, 연구개발(R&D) 및 산업화 전략을 토론했다. 문성욱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양자정보연구단장은 양자통신과 양자컴퓨터의 기술을 검증하기 위한 국가 차원의 시스템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문성욱 단장이 주발제를 하고 있다]문 단장...
2017/08/21자세히보기